«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관리 메뉴

네오영의 블로그

SIP 트렁킹이란 무엇인가? 본문

카테고리 없음

SIP 트렁킹이란 무엇인가?

네오영 2022. 4. 9. 21:37

SIP 트렁킹은 SIP 전화 회선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SIP 트렁킹을 통해 PBX(구내 교환기 전화 시스템)가 인터넷을 통해 통화를 송수신할 수 있습니다.

 

1. 개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술 및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로, 이를 통해 ITSP(Internet Telephony Service Provider) SIP 기반 사설 교환기를 갖춘 고객에게 전화 서비스 및 통합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한다.

 

IP-PBX 및 통합 통신 시설 대부분의 통합 커뮤니케이션 애플리케이션은 음성, 비디오 및 데스크톱 공유, 웹 회의 및 공유 화이트보드와 같은 기타 스트리밍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SIP는 세션 시작 프로토콜로 인터넷을 통해 두 단말 장치 간에 실시간으로 오디오 또는 비디오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여러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화선의 웹은 전화망에 연결되고 전화선을 연결하는 것을 트렁킹이라고 한다.트렁크는 아날로그 전화 시스템의 디지털 버전이다.

 

따라서 더 이상 PSTN(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해 전달되는 전화를 걸지 않고 SIP 공급자는 종량제 계약을 통해 SIP 트렁킹 서비스를 제공한다.

 

 

2. SIP trunking 기능

SIP trunk는 기본적으로 코덱 대응, DTMF 변환등이 있다.

 

2-1. 코덱

코덱은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므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코덱에는, 아래와 같은 것이 있다.

 

GSM – 13 Kbps(전속도),전속도), 프레임 크기 20ms

iLBC – 15 Kbps,프레임 크기 20ms: 13.3Kbps, 프레임 크기 30ms

ITU G.711 - 64 Kbps, 샘플 기반 - alaw / ulaw라고도 부른다

ITU G.722 – 48/56/64 Kbps

ITU G.723.1 – 5.3/6.3 Kbps, 프레임 크기 30ms

ITU G.726 – 16/24/32/40 Kbps

ITU G.728 – 16 Kbps

ITU G.729 – 8Kbps, 프레임 크기 10ms

Speex – 2.15~44.2 Kbps

LPC10 – 2.5 Kbps

DoD CELP – 4.8 Kbps

 

각 통신처에 맞추어 PBX 등으로 코덱을 변환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또한 SIP trunk와 같이 회선측에서 자동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 PBX에 변환 처리 부하가 걸리지 않는 것이 장점이다.

 

2-2. DTMF 변환

DTMF,  전화할 때, 버튼을 누를 때마다 나오는 소리의 신호입니다.

변환 기능에 의해 다이얼 조작에 대응하여 푸시(push) 음을 발생시킨다.

12종류의 소리가 0~9 * #의 버튼에 각각 할당되어 있다.

DTMF는 발신처의 전화번호를 지정하는 것 외에도 통화 중에 다이얼 버튼을 눌러 DTMF를 발생하는                        것으로 음성 안내에 응답하는 등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한다.

 

 

3. SIP trunking을 이용하는 데 필요한 것

SIP trunking은 회선 전용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전화기, PBX 등의 장치가 필요합니다.

SIP trunking 서비스로 회선을 준비하고, 클라우드 PBX나 클라우드 CTI 서비스에 접속해 이용하는 방법등도 있다.

또한, VoIP 어댑터를 이용하여 기존 아날로그 기기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