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영의 블로그
VoIP 프로토콜의 기능과 종류 본문
이번에는 VoIP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토콜에 대하여 기능 및 종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개요
VoIP 전화는 물론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 및 웹 기반 통신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의 개방형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프로토콜로 VoIP(Voice over IP)가 구현되었다.
VoIP 통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능이 필요하다. 일부 프로토콜은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 다른 프로토콜은 몇 가지만 수행하므로 함께 사용을 해야 한다. 이러한 기능에는 다음과 같은 기능이 포함된다.
VOIP 프로토콜의 기능
네트워크 및 전송 – 데이터 수신 확인 및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재전송을 포함하여 신뢰할 수 없는 프로토콜을 통해 안정적인 전송을 생성한다.
세션 관리 – 세션 생성 및 관리는 추가 통신을 위한 컨텍스트를 제공하는 둘 이상의 피어(peers) 간을 연결한다..
시그널링 – 등록(자신의 존재 및 연락처 정보 광고) 및 검색(누군가 찾기 및 연락처 정보 획득), 다이얼링(통화 진행 상황 보고 포함), 협상 기능 및 통화 제어(예: 보류, 음소거, 호전환/전달, 전화 걸기) 수행, 통화 중 DTMF 키[예: 자동 교환 또는 IVR과 상호 작용] 등)의 기능
미디어 설명 – 전송할 미디어 유형(오디오, 비디오 등), 인코딩/디코딩 방법, 전송/수신 방법(IP 주소, 포트 등)을 결정한다.
미디어 – 오디오, 비디오, 문자 메시지, 파일 등과 같은 통화에서 실질적인 미디어를 전송한다.
서비스 품질(QoS) – 동기화, 통계 등과 같은 미디어에 대한 대역 외 콘텐츠 또는 피드백 제공
보안 – 액세스 제어를 구현하고, 다른 참가자(컴퓨터 또는 사람)의 신원을 확인하고, 미디어 콘텐츠 및/또는 제어 메시지의 개인 정보와 무결성을 보호하기 위해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VOIP 프로토콜의 종류
VoIP 프로토콜의 종류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IETF에서 개발한 연결 관리 프로토콜이다.
- H.323: 최초의 VoIP 호출 신호 및 제어 프로토콜 중 하나이다. MGCP 및 SIP와 같은 덜 복잡한 프로토콜이 개발된
이후, H.323은 기존의 장거리 네트워크 트래픽을 전달하는 것으로 점점 더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미디어 게이트웨이사이의 연결 관리에 이용되는 프로토콜
- H.248: 기존 PSTN 및 최신 패킷 네트워크로 구성된 통합 인터 네트워크 전반의 미디어 게이트웨이용 제어 프로토콜
-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실시간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용 전송 프로토콜
- RTCP(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 스트림 통계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RTP용 자매 프로토콜
- SRTP(Secure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의 암호화된 버전
-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멀티미디어 통신 및 웹소켓 전송을 위해 세션 시작 및 알림
- IAX(Inter-Asterisk eXchange): Asterisk PBX 인스턴스 간에 사용되는 전용 프로토콜
- XMPP(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인스턴트 메시징, 현재 상태 정보 및 연락처 목록 유지 관리
- Jingle: XMPP에서 피어 투 피어 세션 제어
- Skype 프로토콜: P2P 아키텍처 기반의 독점 인터넷 전화 프로토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