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관리 메뉴

네오영의 블로그

서버의 개요와 종류 본문

카테고리 없음

서버의 개요와 종류

네오영 2022. 4. 26. 23:51

서버(server)는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하는 컴퓨터 하드웨어 또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홈페이지를 운영하려면 서버가 필요하며, 온라인 게임이나 웹게임들도 서버를 통해서 서비스를 하고 있다보통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관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등등에 방화벽, 라우터 등이 붙어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서버는 또한, 프린터 제어나 파일 관리 등 네트워크 전체를 감시·제어하거나, 공중망을 통한 다른 네트워크와의 연결, 데이터·프로그램·파일 같은 소프트웨어 자원이나 모뎀·팩스·프린터 공유, 기타 장비 등 하드웨어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서비스 규모가 커질수록 서버의 규모도 커지기 때문에 구글이나 페이스북 같은 서비스의 경우 자체적으로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는 경우가 있다. 국내에서도 2013 6월 네이버에서 데이터 센터를 완공하여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데이터센터는 상당한 돈과 기술을 필요로 하기에, 이를 직접 운영하는 경우는 생각 외로 거의 없다. 대부분의 경우는 임대를 하고, 외주업체에게 관리를 위탁한다. 네이버 역시도 데이터 센터를 임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다가, 2013년에 국내 콘텐츠 데이터센터 건립하였다.

 

서버의 종류

웹서버

웹 콘텐츠를 저장하거나 처리하는 컴퓨터 또는 소프트웨어이다.

일반적으로 웹 서버가 되는 컴퓨터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Apache2, lighttpd, NGINX 등이등이 있고 apache2가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된다. 웹 서버 소프트웨어는 HTTP 프로토콜을 통해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의 요청 정보를 받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다시 클라이언트에 보낸다.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자원(리소스) URL(Uniform Resource Locator) 형태로 받아 내부 파일 시스템과 매핑하여 처리하거나, URL과 입력 값(: 로그인 화면의 아이디, 패스워드 등)을 함께 받으면 사전에 약속된 처리를 한 후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전달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

클라이언트와 서버 컴퓨터 운용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구동하는 서버이다.

소규모 개인 서비스에서 쓰이는 것은 대부분 MySQL, MariaDB 또는 SQLite 정도이다. 다만 PHP와 달리 MySQL과 마리아 DB는 대형 서비스에도 쓰이는 강력한 데이터베이스 엔진이다.

개인이나SOHO에서는이 대부분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중대규모 규모의 업체 및 기관에서는 JSP/Tomcat + ORACLE을 주로 사용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