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관리 메뉴

네오영의 블로그

FMC 정의와 장점과 단점 클라우드 PBX와의 차이점 본문

카테고리 없음

FMC 정의와 장점과 단점 클라우드 PBX와의 차이점

네오영 2022. 4. 11. 11:04

클라우드 PBX와 유사한 서비스로 FMC라는 것이 있다.

핸드폰과 인터넷전화를 합쳐놓은 휴대전화 및 해당 서비스의 명칭 하는 것으로 국내에서는 2000년대 후반부터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기업에서는 이 두 개의 서비스 중 어느 쪽을 도입해야 할지 헛갈릴 수가 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FMC가 어떤 서비스인지, 장단점과 PBX와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FMC의 정의

FMC」란 「Fixed-Mobile Convergence」의 약어로 도입부에서 설명한대로 「유선전화와 휴대전화의 통합」이라는 의미이다.

일반적인 이동 통신망을 사용하지 않고 Wi-Fi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해서 일반적인 인터넷 전화에 연결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회사에서 이용하는 유선전화나 스마트폰, 휴대전화는 각각의 이용요금이 발생하기 때문에 계약처나 요금의 지불 처도 매월 각각 지불해야 한다.  따라서, 이에 따른 공수는 물론, 총 이용 요금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FMC를 도입하면 흩어져 있는 유선전화나 스마트폰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어 화요금 절감 효과를  가져온다.

 

 

FMC의 장점

FMC의 장점은 앞서 소개한 여러 회선과 장치를 통합할 수 있어 업무 효율화는 물론, 그에 따른 비용 절감도 큰 장점이다.

 

유선전화, 스마트폰·휴대전화, 인터넷 회선 등 각각으로 계약되어 있던 서비스를 하나로 서비스로 정리할 수 있어 이용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여기저기로 분산된 계약이나, 이용 요금의 지불 등에 걸리는 수고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인건비도 절감 할 수 있다.

 

FMC의 단점

그러나 이에 반해 FMC의 단점도 존재한다.

FMC의 단점으로는, 이용할 수 있는 유선전화나 스마트폰, 휴대전화의 통신사가 1사에 한정되는 점이다.

특히 통신사와 계약하는 기업은 절차가 매우 복잡하여 해약 절차가 귀찮다는 이유로 FMC의 도입을 포기한 사례도 있다.

 

다음으로, FMC에서는 휴대전화나 스마트폰에서 외선전화를 이용할 경우에는 휴대 회선을 이용해야 하며 이용요금이 비싸다. 그러므로, 외선의 이용이 많은 기업에 있어서는 비용 절감으로 이어지지 않아 FMC이용에 메리트가 별로 없다.

 

 

FMC와 클라우드 PBX의 차이점

FMC와 비슷한 서비스로 클라우드 PBX가 있다.

 

우선 PBX란 「Private Branch eXchanger」는 일반적으로는 「전화 교환기」라고 불리는 디바이스이다. PBX의 도입 장점은 유선 전화로 외선, 내선, 착신전송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 도입시에는 공사가 필요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공사 불필요한 클라우드 PBX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컴퓨터를 비즈니스폰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클라우드 PBX를 도입하는 메리트이다.. , 클라우드 PBX에서는 클라우드상에 PBX 기능이 있어, 빠르게 도입할 수 있고 기존 PBX에 비하여 도입 비용이 저렴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FMC와 클라우드 PBX의 차이점은 아래와 같다.

  • 외선 번호 발신/수신: FMC는 NG, 클라우드 PBX는 OK
  • 복수의 통신사 이용: FMC는 NG, 클라우드 PBX는 OK

 

, FMC의 기존 약점을 보완한 서비스가 클라우드 PBX라고 할 수 있다.

Comments